로크;Locke;John Locke

존 로크 : 유명론의 근대화

[#M_ more.. | less.. |

John Locke, 1632.8.29~1704.10.28
1632년 영국 잉글랜드 서머싯의 링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소지주이자 법률가로서 내란 때는 의회군에 참가하여 왕당군과 싸웠다. 옥스퍼드대학에서 철학·자연과학·의학 등을 공부하였고, 한때 공사(公使)의 비서관이 되어 독일에 체류하던 중에 애슐리경(뒤의 샤프츠베리 백작)을 알게 되어 그의 시의(侍醫) 및 아들의 교사 그리고 고문이 되었다. 백작이 실각되자 반역죄로 몰려 1683년 네덜란드로 망명했다가, 1689년 사면되어 귀국하였다. 망명생활 동안 각지를 전전하면서 여러 학자들과 친교를 맺고, 귀국 후 《종교 관용에 관한 서한》(1689) 《제2서한》(1690) 《제3서한》(1692) 《통치이론》(1690) 《인간오성론(人間悟性論)》(1690) 등을 간행하여 국내외에 이름을 떨쳤다. 그뒤 관직에도 있었으며, 1700년 이후 은퇴하여 에식스의 오츠에서 사망하였다.
데카르트 철학과 아이작 뉴턴에 의해 완성된 당시의 자연과학에 관심을 가졌고 반(反)스콜라적이었으며, 계몽철학 및 경험론철학의 원조로 일컬어진다. 《인간오성론》은 그의 영향을 바탕으로 조지 버클리와 데이비드 흄에게로 계승되었던 경험론과 내재적 현상론(內在的現象論)의 입장에서, 임마누엘 칸트에 이르러 결실을 보게 되는 인식을 근본 과제로 제기하여 논술한 저서이다.

_M#]

로크는 과학 발전을 가로막는 허구적인 원리나 개념, 사고 등을 제거하는 청소부 역할을 자임함. 그는 경험과 관찰만이 과학에 이르는 유일한 길로 봄. → 경험주의

⊙ 데카르트 : 같은 과학주의라고 해도 경험과 관찰의 불확실성을 지적하며 이성에 내재해 있는 본유관념과 그것에 의거한 연역적(예 수학적인) 지식이 진리에 이르게 함
⊙ 로크 : 경험이나 관찰에 의하지 않은 지식이나 개념은 신학 우주론은 물론 본유관념이라고 해도, 과학적 지식의 발전에 방해

Tabula rasa : 경험 이전에 이성이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틀림없이 백지일 것이다.로크는 데카르트의 본유관념을 부정하며, 우리의 지식은 모두 경함의 산물이라고 함.

완전한 개념은 신이 준 것도 타고난 것도 아니다. 그것은 경험에 추출된 것이며, 불완전한 모습들을 관찰하여 불완전성을 제거하고 완전한 모습을 그려낸 것일 뿐이다.

보편개념(일반개념) : 우리의 사고가 만들어낸 것이며, 다만 이름으로서 의미를 가질 뿐

⊙ 단순관념 : 누런 금속을 보고 금이나 노랗다고 판단하는 것 — 사물에 의해 자극되어 만들어짐
⊙ 복합관념 : 우리의 사고가 단순관념을 결합에서 만든 것 — 단순관념들을 오성이 결합하여 만들어짐.
 
→  신이나 인간과 같은 보편개념은 복합관념이며, 그 자체로 실재하지 않음. 본유관념과 이성/진리의 개념에 대해서도 그렇게 반박함.

딜레마

1. 실체에 관한 것(물질과 정신) : 경험을 위해서는 단순관념을 야기하는 믈질적 실체가 있으며, 인식의 불변적 주체인 정신적 실체가 있음을 인정
2. 진리에 관한 것 : 제1성질 — 주체와 상관없는 성질(객관적), 제2성질 — 주체에 따라 다르게 경험하는 성질(주관적)

→  제2성질은 경험 안에 있지만, 제1성질은 물체 자체에 속하는 성질로 진리가 가능한 것은 제1성질 때문이며, 제1성질은 사물이 갖는 일종의 본유성질인 셈

로크는 데카르트의 본유관념을 유명론의 입장에서 비판하며 주체로부터 본유관념을 분리한 반면, 진리가 가능하다는 것을 주장하기 위하여 본유성질로 사물에게 돌려줌.

유명론과의 관계

중세의 유명론 : 실재하는 것은 개별자라는 존재론적 성격

로크의 유명론 : 근대적 문제설정에 포섭됨.  →  이 주체가 진리에 이르는 길은 무엇인가?  →  개별적인 사실들에 대한 관찰과 경험의 중요성을 역설  →  인식론적 성격

버클리 : 유명론에서 관념론으로

로크의 비판을 통해서 고유한 입론을 세움

로크는 복합관념을 오성(정신)이 결합한 것이고 명목적인 것일 뿐이라고 하면서, 실체에 대해서만 예외로 함. 물질과 정신이라는 실체는 예외적으로 실재로 간주

로크는 대상의 성질이란 모두 인식주체가 경험한 것이요 주관적이라고 하면서도 제1성질에 대해서는 예외로 함. 제1성질만 유독 물질 그 자체에 속하는 객관적 성질이라고 할 이유가 없다. 경험되지 않는 성질이란 알 수 없는 성질이요, 알 수 없는 성질이 있다고 하는 것은 모르는 것을 안다고 하는 말처럼 앞뒤가 안맞는 것임.

물질적 실체를 가정하면, 이것이 지식과 일치하는가라는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 이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려면 ‘물질적 실체’, 즉 ‘물질’이란 개념을 없애야 함.

물질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존재하는 것은 오직 지각된 것 뿐이다. 버클리는 물질은 없앴지만, 정신은 인정하며 ‘정신이란 실체만 존재하며, 이 실체가 지각하는 것만이 존재함.’

 →  유명론에서 관념론으로 전환


존 로크의 〈인간 오성론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1690) 은 진리의 새로운 기준을 제안함으로써 근대 철학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결정적으로 뚜렷이 보여주었다. 이 책의 본래 의도는 “인간 인식의 기원, 확실성, 범위를 탐구하는 것”이었으며, 여기에는 다음의 3가지 과제가 포함되어 있었다. 첫째 인간 관념의 기원을 찾아내는 것, 둘째는 이 관념의 확실성과 증거로서의 가치를 밝히는 것, 셋째는 덜 확실한 모든 인식의 권리를 검토하는 것이다. 르네상스의 일반 관례에 따라 로크는 ‘관념’을 “인간이 사유할 때 지성의 대상이 되는 모든 것”으로 정의했다. 그러나 데카르트와 모든 합리론 학파에게 관념의 확실성은 그 자명성, 즉 그 명석성과 판명성의 함수였던 반면 로크에게 관념의 타당성은 분명히 그 관념이 생기는 양상과 방식에 달려 있었다. <브리태니커 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