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형도에 대한 문상 중

어제 집으로 돌아가 <쌩 떽쥐뻬리硏究>를 책꽂이에 다시 꽂아놓았다. 1960년대에 만들어진 책 속의 연구는 무지하게 감상적이고, 유치했다. 법정 스님의 글도 있는데, 그 또한 유치했다.

그르니에의 책을 뽑았다가 다시 꽂아놓고, 사둔 지 1년이 다 된 <기형도 전집>을 꺼냈다. 한 작가의 모든 글을 모았다는 전집이 딸랑 한권이다.

딸랑 한권의 인생.

몇년 전, <입 속의 검은 입>을 읽고, 시집을 덮었을 때, 그가 딱 그만큼의 생을 살았다고 생각했다. 그 작은 시집 속의 시들 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차고 넘칠 듯한 삶의 이정(里程)과 역정(歷程)이 더 이상 갈 곳이 없게 만들었을지도 모른다고 할 정도로 그의 시는 충분하였다.

하지만 포도밭 묘지들을 읽으면서 그의 산문을 갈증했다. 그래서 그의 전집을 샀다. 그리고 오랫동안 방치해 두었다.

전집의 앞에 나온 그가 육필로 쓴 습작들의 사진을 보고 웃었다.

기형도도 나처럼 글을 그렸다.

그의 시는 흙빛으로 검고 탁류와 같아 황폐한 데, 글씨는 분홍빛 문학소녀의 것이다.

그런 글씨를 쓴다는 것은 일종의 강박, 글을 예쁘게 쓰지 않고 비뚤빼뚤 마구잡이로 쓰면 머리 속이 정리되지 않아 아무 글도 쓰지 못하리라는 강박의 일종, 그 집요함을 드러내 놓고 있으며, 여유가 없어보였다.

나는 그의 시와 소설을 뛰어넘고 짧은 여행의 기록에서 부터 읽기 시작했다.

이십대 중반의 그의 글은 자신의 사유의 방황에 대하여 명료했다. 하지만 그의 방황을 추적하기란 용이하지 않다. 아주 오랜 시간동안 읽어야 방향이 잡히고 여과될 한 젊은이의 글이었다.

짧은 그의 글 속에서 하나의 철학이나, 하나의 경구를 긁어낸 들 무슨 의미랴?

언젠가 김경주의 시집 <나는 이 세상에 없는 계절이다>를 읽은 적이 있다.

로보트의 가슴으로 쓴 시. 어떤 형식에 널어논 단어의 풍경화, 그리고 절묘한 흉내내기, 그러면서도 마음에 드는 그의 시를 읽으며 어디에선가 읽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나는 한 사내를 만난다.

자신이 기형도의 친구였으며, 김경주는 자신을 추종하는 무리 중 하나라고 했다.

나는 그의 말을 전적으로 믿는다. 내가 보기에는 그가 그들보다 뛰어나기 때문이다.

우리는 익명의 세계, 저 멀리에서 몇년동안 서로를 알고 지냈다.

착암기를 들고 벽을 부수고, 도로를 깨트리며, 서울의 변두리나 저 남도를 떠돌아다니는 것이 그의 직업이었다.

내가 들어본 적 없는 책을 읽었고, 한번도 들어본 적이 없는 음악을 즐겼고, 찍을 수 없는 지점에서 찍은 사진들이 그의 포스트에 채워져 있었다. 그의 모든 중심은 늘 바람이거나 구름과 같은 것으로 채워져 있어서, 그의 글을 읽으면 머리는 멈추는데, 가슴 만 움직였다.

그의 글에 나오는 지명들은 내가 익숙하게 알고 있는 곳임에도 아득하고 낯선 풍경들로 채워져 있었다. 그는 늘 나와 다른 지점에서 세상을 바라볼 줄 알았다.

몇달 전에 우리는 한 선술집에서 만났다.

먼 세계를 건너와 먼지에 튼 얼굴로, 허드렛일을 하는 사람의 모습으로 내 앞에 나타났다. 만나기 전까지 나는 그가 착암기를 들고 드르륵거리며 뭔가 단단한 것을 깨트리는 사람이라고 믿지 않았다.

그의 학력이 고졸인 줄 알았다. 그러나 그는 나의 대학 후배였고 국문과였다고 했다. 기형도와 동갑인 그는 문학적으로 알고 지냈다고 했다.

어떻게 노동을 하게 되었냐고 물었더니 학생운동을 하다 제적이 되었고, 공사판을 전전하게 되었다고 하는 그는 이제 자식을 다 키웠으니 몇년 후 착암기를 내려놓고 글을 쓸 것이라고 했다.

그동안에 쓴 글은?

그것은 애착없는 흘러가는 글이라고 했다. 자신의 글은 집 안의 박스 안에 놓여 있을 뿐이며, 그 글들도 부정되고 또 다른 글을 써야 할 지도 모른다고 했다.

그 글들이 세상에 나오기를 기다리겠다고 했다.

훔쳐 본 그의 글은 이렇다…

검은 살

길 위에 머문 지 두달 째 되어간다. 톨게이트에서 톨게이트로 옮겨다니며 여러개의 구뎅이를 팠다. 나는 부숴야 할 대상을 앞에 놓고 잠시 눈을 감는 버릇이 있다. 잠시 이 땅에 왔다가 갈 쓸모에 대해, 나는 생각한다. 쓸 것인가, 쓰일 것인가. 길 위에 지은 집은 뼈대가 물음이다. 유월을 지나면서 햇빛이 앉았다 간 자리에 나무는 푸른 물이 드는데, 나는 검은 살이 되어간다.

사실 내 안에도 웅덩이가 있다. 그것은 예전에 구뎅이였고 상처였다. 그 상처에는 물이 고인다. 그리고 열망들이 산다. 장구애비, 날도래, 물땡땡이, 그리고 한낮 고요로 반짝이는 수면, 모든 열망은 유충이다. 아직 날개를 갖지 못한 저 꿈틀거림, 상처에 모여산다.

날이 흐린데, 아직 비는 오지 않는다. 秋富에서는 비 보다 먼저 바람이 찾아오고, 슬픔보다 먼저 흔들림이 찾아온다. 고개숙인 여자의 어깨처럼 흔들리는 풀들, 아, 아 이 들판, 시퍼런 자연의 누각에서, 누가 숲을 흔들어 마음의 바람을 일으키나. 바람은 가장 연약한 줄기를 골라 딛으며, 해마다 몸 열어 토해 낸 이파리들을 흔든다.

내일은 무주로 가야한다. 가다보면 언젠가는 저 남쪽 마을에 닿게 될 것이다.

This Post Has 6 Comments

  1. 마가진

    자동차여행을 다니시나요?
    다니시면서 많은 감상과 생각을 가지시는 듯 합니다.
    물론 그것도 휴식의 한 모습이라 생각합니다.

    1. 여인

      저는 간혹 휴일에나 다닙니다.

      맨 아래의 글은 제가 좋아하는 다른 분의 글입니다. 그는 각종 공사 현장을 돌아다니며 작업을 하는 틈틈이 글을 써서 올립니다.

  2. 플로라

    올해 기형도20주기행사에 참석하게 되어 소설가 성석제님으로부터 대학시절 친구였던 기형도시인의이야기를 들었어요. 에피소드 하나하나 덤덤한듯 애써 꾹꾹 감정누르며 즐려준 이야기들은 기형도시인에 대해 아는 바 없는 저에겐 시의 배경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지요. 그가 살던 집은 허물어졌고, 집 앞의 뚝방도 깔끔하게 정비되어, 그의 시에서 느껴지는 안양천변의 느낌은 사라졌지만, 그날 들었던 여러 이야기들로 인해 무심하게 지나치던 그가 살던 곳의 풍경을 그 당시 모습으로 상상하며 그려내는데, 도움이 되었지요. 그러나 저는 그의 시를 이해하기엔 너무 널널하게 살았던 모양입니다.

    1. 여인

      기형도씨의 삶의 편린이나마 나눌 수 있는 기회를 가지셨다니 부럽습니다.

      누구의 시나 글을 이해한다는 것은 참으로 어렵습니다. 그를 위하여 해석학적인 방법을 통해 접근하기도 하지만, 작자의 의도를 깡그리 무시하고 그 시를 둘러싼 제반 권위조차 무시하고 텍스트를 자신이 새로 써나가는 방식(Deconstruction)으로 읽어가는 것 또한 괜찮을 것 같습니다.

      이제 플로라님에겐 안양천이란 조금 다른 의미의 개천이 될 수도 있겠네요.

      아래의 글은 플로라님도 잘 아시는 마콘도님의 이야기입니다.

  3. 선수

    그런 것이 그리 보이시는 여인님이 더 신기합니다. 그 분의 글이 세상에 나오면 제게도 일러주세요, 여인님과의 인연이 저도 꼭 아는 사람의 글을 만나듯 반가울것 같습니다

    1. 旅인

      저도 그의 글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언젠가 그의 글이 우리 문단에 이런 글도 있다라고 크게 소리쳐주기를 바랍니다.

여인에 답글 남기기 응답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