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를 읽다 06 (옹야편)

논어를 읽다는 작년 3월27일에서 4월08일까지 <들어가기>에서 <공야장>까지 6개의 포스트를 작성했다가 중도에 읽기를 멈췄다. 그러다 보니 뭔가 숙제가 남은 듯 늘 찜찜했던 차에 요즘 포스트를 올릴 것도 마땅치 않고 글을 쓰는 것을 놓쳐버리면 영영 포스트 작성이 어려울 듯하여 다시 손을 대본다.

오늘 아침 참고하기 위하여 도올논어(1~3권)를 펼쳐보니, 김용옥도 공야장에서 자신의 글을 더 이상 진전시키지 못하고 끝내버렸다. 그러나 나는 한번 끝까지 가보자.

공야장과 옹야 둘다 제자들의 인물평에 해당하는 편인데, 공야장의 인물평이 가혹했다면 공자라는 노인네가 오락가락하는 지, 옹야에서는 제자에 대하여 극찬을 아끼지 않고 있다.

옹야에서는 염옹은 가히 임금을 시킬 만 하다 1옹야-01 : 雍也可使南面 라고 시작한다. 문장에서는 남면(자리에 앉아 남쪽을 바라보다)라고 되어 있지만, 남면이란 왕이나 제후를 가리키는 말인 만큼 <임금>이라는 말이 적당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염옹(자 仲弓)은 그 아비가 불초(不肖)하다고 <공자가어> 중 <제자해>에 쓰여 있다.

불초하다는 말은 허드렛일이나 하고(백수도 포함), 가방끈이 짧을 뿐 아니라, 행동거지 또한 싸가지가 하나도 없다라는 뜻이다. 그러니까 나같이 마구잡이로 사는 사람을 말한다.

공야장에서 나의 제자 놈들이란 것들은 도지사(천승지국) 밑에서 돈이나 세고 비서실장, 의전담당이나 할만하다고 한 공자가 무엇 때문에, 누구에게 임금이 될 만하다고 했는 지 모르겠다.

분명 이런 중대한 발언을 권력의 최상층에 있거나 인재 리크루트를 위하여 떠돌던 열국의 정치가들에게 하지는 않았으리라. 그렇다면 공문(孔門)의 제자들에게 말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공야장에 어느 놈이 말하길 염옹이 어진 것은 알것는 디… 글씨 떠듬대는 말뽄새가 쪼개 거시기 하지 않소?” 하고 묻자, 공자가 “아가리가 잘 나서 워따 써 묵을티냐? 입술에 침칠하고 설랑 싸가지없이 남의 말이나 탁탁 가로 막고, 미움이나 살 일 아니냐? 내가 놈(염옹)이 어진 지 어쩐 지 몰라도, 네 놈들 아가리가 걸지다고 도대체 워따 써 먹을 것이냐? 이눔들아! 2공야장-04 或曰, 雍也仁而不佞. 子曰, 焉用佞? 禦人以口給, 屢憎於人. 不知其仁, 焉用佞? 라고 말한다.

하기야 노대통령도 말 잘한다며, 소장 검사들과 한번 토킹 어바웃하자고 했다가, 안면을 구긴 것은 물론 젊은 검사들도 “허참! 저 놈들, 배운 것들 싸가지하고는, 쯧쯧”하는 지탄을 받았고, 당대 논객이라 자처한 유시민과 전여옥이 주는 것 없이 미움만 톡톡히 산 것만 보아도 잇빨이 실해서 좋을 것이 없다는 공자의 말은 맞는 것이다. 사람의 판단기준은 아가리가 아니라 품행과 실천에 있는 것이다.

또 옹야편에서 공자께서 염옹에 대하여 말하기를 볼품없이 생긴 밭가는 소(염옹의 아비)가 나은 새끼라도 빛이 붉고 뿔이 단정하다면, 사람이 (출생이 나빠) 제물로 쓰지 않으려 하여도 산천(神)이 가만히 내버려두겠는가? 3옹야-04 : 子謂仲弓曰: 犁牛之子騂且角, 雖欲勿用, 山川其舍諸? 라며, 너희와 같은 출신은 좋을 지 몰라도 행동거지가 싸가지없는 것들과는 다르다고 이야기한다.

이 옹야편에서 우리는 공자가 사람을 소인배처럼 빈부귀천에 따라 판단하지 않고, 사람됨을 중시했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이 편에서 우리는 예수와 제자들 간의 관계를 볼 수 있다.

우리가 잘 아는 벤또 한 개, 한 고뿌의 물로 하꼬방에서, 보통 사람은 견디기 어려운 나날을 보내면서도 배움의 즐거움을 포기하지 않다니 어질도다 회여! 4옹야-09 : 一簞食, 一瓢飮, 在陋巷. 人不堪其憂, 回也不改其樂. 賢哉, 回也! 라고 찬탄한 안회는 예수의 사랑하는 제자 요한이요, 위의 염옹은 아마 도마일 것이다. 자하나 자공은 베드로처럼 보인다. 염옹은 공자가 찬탄할 정도로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논어에서 공자와의 직접적인 대화는 다른 공문십철에 비교하여 현저히 적다. 반면 증삼이나 자공, 자하와의 대화 내용은 풍성하다. 그래서 예수가 살아있을 당시 제자 중 반열이 상당히 높았던 도마는 하찮아지고, 갈릴리의 무식한 어부이자 한주먹하던 베드로는 당시 패권국이던 로마에 전도를 함으로써 지상 교회의 반석이 되는 것이다. 도마는 최근에 나그 함마디(Nag Hammadi) 문고 중 <토마스 복음서>가 발굴되면서 다른 제자와 달리 예수의 옆구리에 손가락을 넣어볼 수 있을 정도로 지위가 높았다는 인식이 새로워지고 있는 것 같다.

제자들에 대한 평은 이것으로 그치고, 옹야에 나오는 이야기를 들어보자.

공자가 말하길, 사람이 살아갈 수 있는 것은 솔직함 때문이다. 거짓으로도 살아간다면 그것은 다행이 재앙을 면했을 뿐이다 5옹야-17 : 子曰: 人之生也直, 罔之生也幸而免 라고 한다. 공자의 이 말에 공감이 언뜻 가지 않는 것은, 알량한 나의 생활이 몇푼 돈과 알량한 명예에 찌들어 사는 것 같지 않은 삶을 그냥 삶이라고 살아가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그래서 자신의 생에 대하여 아무런 애착도 없고 자긍심이나 자존같은 것을 길바닥에 질질 흘리며 사는 것 같지 않게 살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니 나의 소인됨이란 이러한 것이다.

그것을 아는 자는 그것을 좋아함만 못하고, 그것을 좋아하는 자는 그것을 즐기는 것만 못하다 6옹야-18 : 知之者不如好之者, 好之者不如樂之者 고 공자는 말하는 데, 그것이란 무엇인가? 여기에서 무엇을 하더라도 삶을 즐기라는 공자의 대긍정적 설법이 있는 것이다.

이상하게도 중용은 유가의 최고의 덕목이고, 공자를 時中이라고 칭할 정도이면서도, 논어에는 단 한 구절 밖에 나오지 않는다.

공자가 말하길, 항상 넘치지도 않고 모자라지도 않게 하는 것(中庸)이 바로 德이다. 그 지극함이여! 사람들이 이를 잃어버린 지가 오래되었구나. 7옹야-27 : 中庸之爲德也, 其至矣乎! 民鮮久矣 8중용에서는 옹야-27의 구절이 子曰, 中庸其至矣乎! 民鮮能久矣라고 되어 있다 라고 한다.

주자집주에 보면 중(中)이란 넘치지도 모자르지도 않는 것의 이름이다(中者無過無不及之名也) 용(庸)은 평상이다(庸平常也) 라고 되어 있고, 정자(程子)는 한편으로 치우치지 않은 것을 中(不偏之謂中), 바꾸지 않는 것을 庸(不易之謂庸)이며, 중은 천하의 바른 길(中者天下之正道)이며, 용은 천하의 마땅한 이치(庸者天下之定理)라고 한다. 그러나 이 중용의 개념정리를 통해서 외줄타기 기법(How to do)은 배울 수 있어도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What to do)를 알 수가 없으니, 어째서 최고의 덕목인지를 나의 머리로는 알 수가 없다. 이것은 산상수훈의 마음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할 때, 마음이 가난한 것이 무슨 뜻인지 알 수 없어 아득한 것과 같다. 그래서 공자의 손자인 子思가 중용에 대한 논문을 쓰고, 朱子가 禮記에서 그 글을 후벼 파서 중용이란 이름으로 사서(四書)를 만든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중용을 읽어도 중용이란 잘 모르겠다.

마지막으로 좀 이해하기 쉬우면서도 공자의 도를 관철하고 있는 문장을 보자

자공이 어디에서 마르크스를 공부하고 왔는지 말하길, 어떤 사람이 있어 민에게 많이 베풀고 그들의 살림살이를 가지런히 한다면 어떻습니까? 어질다고 할 만한가요?” 물으니 공자는 “어질다니…? 짜샤! 그것은 성스럽다고 하는거야. 요순 임금도 말이지… 그것 때문에 햇또가 돌 지경이었거든. (그러니까 말도 되지 않는 소리 말고) 으흠! 대저 어질다는 것은 자기가 출세하고 싶으면 남도 출세시키고, 자신이 어떤 분야에서 프로가 되고 싶으면 다른 사람도 그런 수준으로 이끄는 거야. 자기 자신을 미루어 남을 생각하는 것(能近取譬=推己及人)이 바로 어진 것의 노-하우(Know-how)가 아니겠냐 이 말씀이지. 9옹야-28 : 子貢曰: 如有博施於民而能濟衆, 何如? 可謂仁乎? 子曰: 何事於仁, 必也聖乎! 堯舜其猶病諸! 夫仁者, 己欲立而立人, 己欲達而達人. 能近取譬, 可謂仁之方也已 라고 말한다.

여기에 거론된 자공은 공자의 제자 중 경영학 성적이 가장 뛰어나 돈도 많이 벌고, 孔門의 재정담당을 한 사람으로써, 좌파 경제학적인 입장에서 하부구조가 Good이면 상부구조인 仁도 달성이 되지 않겠느냐고 묻는데, 공자는 이상론적인 이야기보다 주변에 네 놈이 잘 아는 사람들에게나 잘하라는 보수 실용주의 노선을 견지한다. 우리는 이 글을 보면서 무늬만 진보정당이 자신들의 이론을 현실에서 펼치지 못했을 때, 民이 공허한 이론에 어떠한 답을 하는지 이번 지방선거에서 똑똑히 확인할 수 있었다.

간만에 한문을 보았더니 해석이 잘 안되고 머리가 어질거려 당분간 논어와 관련서적에 적응하는 기간이 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일년전의 글(논어를 읽다)을 보시려면, 훼멸의 금고散註에 가시면 볼 수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