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자씨의 눈동자

기승전결이 어느 정도 균형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배웠거나 아니면 감각적으로 느낀다. <올드보이>에서 박찬욱 감독은 지리한 도입부을 그려나가면서 <왜, 오대수는 15년동안 낡은 여관방과 같은 곳에 갇혀야만 했는가>를 관객들이 말라비틀어진 야끼만두 씹듯 씹게 만들었다. 그러니까 15년간의 오대수와 같이 영문도 모른 채 지루함을 강요당했던 다음 스피드하게 결론부까지 도달하게 한다. 그러나 오대수는 주변부에 대한 복수에는 성공했을 지 몰라도 진정한 복수(이우진의 목을 따버리는 정도의)에는 실패하는 비극적 결말을 만들어 냈다.

만약 <친절한 금자씨>가 흥행에 실패한다면, 영화가 <올드보이>에서의 불친절하고 파격적이고 희화적인 것과 배치되는 형태로 조율되었다는 점에 있다. <올드보이>의 잔혹하고 단순무식 방식의 복수에 스트레스를 해소했던 관객들은 이우진이라는 싸가지없고 죽어 마땅한 놈에게 오히려 오대수가 철저하게 유린당하는 결말을 보고 어느 정도 불만을 가진 채, 박감독의 복수극 최종편인 <친절한 금자씨>를 보러 온다.

<친절한 금자씨>는 너무 친절하다. 관객들은 복수를 해야할 놈이 누구란 것과 왜 복수를 해야하는 지를 뻔히 안다. 그러나 관객들이 놈(백선생)을 쳐 죽이고 싶다는 욕구를 불러 일으키기에는 뭔가 부족하다. 놈이 나쁜 놈이라는 것을 관객들은 논리적으로 이해한다. 어린아이를 유괴하고 살해한 후, 그 죄를 남에게 뒤집어 씌웠다. 이것은 유괴범으로서는 그럴 가능성이 있다면 그것은 당연히 선택할 수 밖에 없는 타당성을 갖는다. 그래서 그는 사회적 공적 죄인이지, 결코 껍데기를 포를 뜬다거나 대꼬챙이로 몸 이곳 저곳을 찔러죽여야 한다는 가학적 희열과 쾌감을 기대하게 하는 나쁜 놈을 구현해 내는 데는 뭔가 2% 부족한 점이 있다.

기승전결을 기대된 만큼의 시간으로 안분되고, 감방 동기들을 소개하는 병렬적인 화면들은 소설적이라기 보다 백과사전적이고, 친절한 금자씨의 친절이 의도된 친절임을 설명하는 데 뜸을 너무 들여, 관객들은 불어 터진 라면발을 씹듯 마지막 장면을 보게 된다. 그런데 아참! 계란을 넣지 않았다고 계란을 넣은 후 불은 라면을 다시 더 끓여 불어터진 라면의 진수를 보여주듯 유괴된 아이들의 부모를 끌어들여 차곡차곡 백선생을 죽여가는 데, 죽어가는 백선생이 오히려 불쌍하여 금자씨가 너무하는 것 아닌가 하는 걱정마저 들게 한다.

그러니까 <올드보이>에서 이끌고 온 복수의 결핍에 대한 불만은 오히려 복수의 과잉으로 인하여 뭔지 모를 찝찝함으로 전환된다. 불쾌감인지 죄악감이라고 해야 할 지 잘 모르겠다.

<친절한 금자씨>에서는 강렬한 원색적 화면의 구성미가 더욱 세련미를 보이고, 복수 장면의 디테일한 장면의 미학적 추구는 강렬하기는 하지만, 올드보이에서의 미도와의 사랑과 같은 감미료가 부족하며 잔혹극을 이끌어갈 강렬한 오리지날 사운드가 부재하여 관객들의 감정적 선율을 이끌어 내는 데 실패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니까 볼 만한 것은 금자씨의 눈동자 정도 밖에 안된다는 것이다. 그 눈동자를 보면 이영애도 이제 늙어간다는 것을 잔잔한 눈주름을 통해서 엿볼 수 있다.

2005.08.15일 오후 6시 50분 아내와 함께…

참고> 친절한 금자씨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