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을 것을 위하여…

山雷頤

이 괘의 이름은 이(頤)이다. 턱을 뜻하며, 먹여 기른다 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북경 이화원의 한자도 頤和園이다. 이때 이화란 위 아래가 화합한다는 뜻이다.

괘를 설명한다면 상괘(위의 세효)는 산을 뜻하고, 하괘(아래의 세효)는 천둥을 뜻한다. 산에는 멈춘다라는 의미가 있으며 번개는 움직인다는 것을 뜻한다.
사람의 입도 이와 같아서 위턱은 움직이지 않고 아랫턱이 움직여 음식을 저작한다.
그리고 괘의 모양도 맨 위와 아래의 효는 양효로 잇몸과 턱뼈처럼 하나이되, 가운데 효는 음효로 갈라져 있어 이빨의 형상을 하고 있다.

한번 효사는 놔두고 괘사와 단사만 한번 읽어보자.


卦辭 :
이는 곧으면 길할 것이다. 턱을 보고 스스로 구실(口實:먹을 것)을 구한다.

彖辭 :
<이는 곧으면 길하다>는 것은 바른 것을 기르면 길하다는 것이다.
<턱을 본다>라는 것은 그가 몸을 기르는 것을 본다는 것이다.
<스스로 구실을 구한다>는 것은 그가 스스로 몸을 기르는 것을 본다는 말이다.
천지는 만물을 기르고, 성인은 어진 이를 길러 만민에게 까지 그 덕을 미치게 한다.
그러니 이괘의 시의(時宜)는 중대한 것이다.

象 :
산(艮) 밑에 천둥(震)이 있는 것이 이이다. 그러므로 군자는 말을 삼가고 음식을 절조있게 한다.


旅인 曰, 이 괘를 보고 선인들은 상괘를 임금 또는 윗사람 등으로 보고, 하괘를 신하와 아래사람으로 보았다. 그리하여 윗사람이 굳건히 앉아 명령을 내리면 아래사람이 몸을 바삐 놀려 명령을 수행해야 한다는 뜻도 있다고 보았다.

여기에서 이 뜻을 다시 살펴본다면 주인은 그 자리에 있으면 손님이 오고 간다. 그러나 손님이 오고 가기 위해서는 곧아야 한다. 여기에서 곧아야 한다는 것은 음식이 구실에 맞아 음식을 먹고 그 몸이 강건하게 길러져야 하며, 음식의 맛 또한 그러하여야 한다는 뜻일 것이다.

이러하다면 어찌 그 사업이 처음에는 늦을지 몰라도 종당에는 크게 창성하지 아니하리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