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과 이야기

소동골을 지나는 바람은 좁은 벼랑 사이를 날카롭게 비집고 들어와 솔밭에서 부드러운 미풍으로 바뀐다. 솔밭 바로 곁에는 자갈과 바윗돌들이 흐트러져 있고 암석의 모난 모서리를 개울이 씻고 지난다. 개울은 계곡을 지나 들로 내려가고 산과 들 위로 가을 하늘이 내려앉는다. 하늘은 무심한 만큼 엄청난 침묵의 무게로 이유없이 양식을 영글게 하고 대지 위의 피곤한 생명들에게 삶을 퍼붓고 있건만 더 이상의 질문에는 대답이 없다. 하늘이 투명할수록 내밀의 오의를 이 세계가 간직하고 있다는 생각은 짙어진다. 그리하여 자연은 휘돌아 뒤엉키는 나무와 언덕, 소실점없이 잡초와 쪽빛 하늘가로 흐트러져 버리는 길들. 찬란한 풍광들을 마련하여 눈 앞에 펼침으로써 자신의 내면과 세계의 오의에 대한 갈증을 잊도록 했으리라. 달마가 구년 면벽이 뜻하는 바도 바깥 세상의 찬란함을 떨침으로써 오의를 증득함이 아닐는지?

가을 날의 극명한 햇살도 대지의 흡수력과 친화성 속에서 감미로운 향내로 바뀌고 소동골에는 녹색의 빛이 사라지려 하는 데 금빛 햇살에 그림자는 더욱 은밀해지고 있다.

불현듯 커피냄새가 그리위진다.

개울소리가 더욱 차갑다. 바람소리. 가슴 속에 응어리처럼 남아 허전하게 울리던 소리들…

돌이 있었다. 그 돌은 정교한 계산과 탁월한 심미안 속에서 정에 맞아 자신의 각을 덜어내고 석주가 되었다. 지중해의 해풍은 올리브향을 그 위에 수천년동안 기름붓고 있다. 석주는 신의 지성소를 떠받치고 황금분할로 배치되어 밖에서 흘러드는 빛을 차단함으로써 내밀의 공간을 만들었다. 신의 헐벗은 영혼은 그 곳으로 내려와 욕정으로 가득 찬 눈으로 에게해의 짙푸른 바다를 내려다 보며 다마스커스에서 불어오는 건조한 훈향을 젖가슴을 풀고 맞이한다.

희랍인들은 정신과 자연이 별개임을 말하고 자연의 불규칙함을 이데아에 근접시킴으로써 인간 존재의 위대성을 항변하였다. 그리고 석주 위로 시간의 눈금이 쌓여갔다. 그리고 인간의 위대함도 시간이 지닌 사멸의 이법 속으로 잦아들었다. 그리고 폐허와 허무. 그리고 이데아는 다시 자연으로 돌아갔다.

무지는 앎보다 깊고 넓다고 장자는 말한다. 지식은 단지 광막한 대지 위에 내딛는 발자취며 무지는 그 대지다. 만약 발자국만 남기고 그 외에는 천애의 벼랑이라면 네가 걸을 수 있겠느냐? 그리하여 우리가 무지를 수용함으로써 만이 지식을 구할 수 있느니라. 온갖 지식은 삶에 근거한다. 삶은 또한 신과 죽음과 우주에 편만한 이법 등 불가사의한 것들에 의지한다. 이데아(Idea)와 로고스(Logos) 속에 돌은 석주가 되어 세월을 보낸 후 결국 다시 돌이 되어 잡초 위에 눕는다.

숱한 나날의 다양한 열정과 시절들의 지칠 줄 모르는 풍광의 변이가 나에게 뭔가를 끊임없이 추구케 하고 숨가쁘게 하였다. 그래서 대기의 음조와 석양의 미묘한 변화조차도 나에게 더 이상의 감동을 불러일으키지 못하였다. 그래서 산사로 올라갔다. 비가 며칠을 내렸다. 골을 적시는 차디찬 아침습기에 곤충들의 온몸은 식어 우리가 지내는 방 외벽에 달라붙어 벽을 통해 흘러나오는 미미한 온기를 마심으로 자신들의 숨을 이어갔다. 빗소리는 처음엔 조용한 서글픔 같다가 제소리에 겨워 흐느끼기 시작하더니 사정없이 내리기 시작했다. 나는 그제서야 추수(秋水)라는 단어를 이해했다. 장대비가 계속되자 개울이 넘쳐 산사로 이르는 길이며 솔밭 위로 물이 넘쳤고 추녀에선 아예 폭포가 떨어져 내렸다. 강렬하였던 치자향기는 사라져버리고 물에 젖은 솔 냄새가 골을 가득채웠다. 담배를 사기 위하여 고무신을 신고 마을로 가는 길은 온통 물로 어디가 길인지 조차 알 수 없었다. 그 때 한 나무의 뿌리에서부터 물총 쏘듯 물이 뿜어져 나왔다. 그러더니 옆의 나무에서도, 이 곳 저 곳에서 물이 뿜어져 나왔다. 그렇게 대지는 숨쉬고 있었다. 그리고 비가 드디어 그쳤다. 아침 한나절동안 8월의 따가운 햇볕은 곳곳을 훑으며 수분을 말리고 있었다. 나는 장짓문을 열고 툇마루에 나 앉았다. 습기와 추위에 지친 육신은 여름낮의 부드러운 대기를 빨아들이며 감미로운 피로를 즐겼다. 그때 대웅전에 깃들던 비둘기가 구구하고 울었다. 툇마루 건너편의 토담 위로 기어오르는 연약한 담쟁이 잎사귀를 바람이 흔들었다. 빛이 잎 끝에서 잠시 머물다 비끌어졌다. 어지러웠다. 마음 속에 조화와 화평, 시간의 정지 등이 머물다 사라졌다. 나는 공허감을 느꼈고 뭔가를 채워야 한다는 갈증으로 방 뒤의 수조로 갔다. 화강암 속의 철분으로 새까맣게 탄 수조는 방 뒤에 버려진 듯 놓여있고 개울에서 수조로 흘러든 물 위로 8월의 구름이 아카시아 잎과 함께 흘러가는데 청개구리 한마리가 수조 끝에서 두리번거리다 수조 속으로 퐁당 뛰어든다.

도시에 바람이 분다. 불현듯 소동골에 두고 온 돌이 생각난다. 완벽함은 스스로를 감추고 드러남을 피하는 것이다. 그래서 손길이 타고 세월이 지난 후 불현듯 기억나는 것이다. 그 때가 아름다웠고 다시는 돌아갈 수 없음을 깨닫고 완벽함은 그 때 그 순간에만 존재하는 것임을 아는 것이다.

일본에는 ‘돌의 정원’1石庭(세키테) : 京都/日의 龍安寺(료안지)에 있는 枯山水(카레산스이)를 말한다. 장방형으로 흰 자갈을 깔고, 15개의 돌을 배치하였다인가 하는 것이 있다고 들었다. 거기에 놓여있는 돌은 한 때 아주 평범한 돌이었으나 사람들이 그 돌을 의식하자 땀을 흘리기 시작했다. 신을 의식함으로써 인간이 변모하기 시작한 것처럼 이제는 돌은 신앙의 한 지점이며 정원의 미와 절제를 주관해야만 했다. 돌의 주위에 무성했던 수풀은 사라지고 권위에 마땅한 외로움의 한가운데로 나왔다. 돌에는 더 이상 이끼가 끼지 않고 정원은 더 이상 흐트러질 수 없으며, 스스로 그러했던 자신이 도의 실체가 되었고 정원에 내리는 비는 더 이상 감미로울 수 없었다.

어느 날 ‘돌의 정원’ 자갈 위로 나뭇 잎이 한 잎 떨어진다. 정원을 쓸던 중이 비를 든 채 망연히 하늘을 본다.

그 때 또 한 잎 낙엽이 떨어진다. 소리없이!

(1980년대에 작성)

This Post Has 4 Comments

  1. 여인

    사무실에서 썼지요. 산사는 한 보름 정도 있었을 겁니다. 이 이야기를 바탕으로 그때를 기억하며 <무위의 녹음>이라는 글을 쓰기도 했습니다. http://yeeryu.com/245

  2. 이 글을 어디서 쓰셨을까요?
    글 쓴 장소가 궁금해지는 글이네요.
    산사에는 잠깐 머물다가 돌아오신거지요?

    1. 旅인

      저도 아직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돌의 정원을 읽지 못했습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