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이란 것

어떤 의미에서는 현대미술 전체가 ‘개념미술’이다. 사실 현대미술은 ‘개념미술’ 이전에도 개념적이었고, 이후에도 여전히 개념적이다. 오늘날의 예술은, 물질을 얼마나 많이 사용하든지 관계없이, 모두 개념적 배경을 갖는다. 개념미술을 통해 창작은 ‘제작’의 의무에서, 작품은 ‘재료’의 감옥에서, 수용은 ‘지각’의 관례에서 해방되었다.
헤겔의 말대로 예술은 죽었다. 아니, 예술의 육신은 죽고 영혼만 남아 비물질성(immateriality)에 도달했다. 물질을 떠난 예술은 우리의 영혼처럼 마침내 파괴될 수 없는 불멸성(immortality)에 도달했다. 1진중권의 서양미술사 후기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167쪽

One and Three Chairs / Joseph Kosuth
Completion Date: 1965. Style: Conceptual Art. Genre: installation

왜 현대미술이 이해 안되고 기괴한가는 이 글을 읽으면 알 수 있다. 육신은 죽고 영혼만 남았다는 것은 예술이란 것이 산(生) 시선으로 바라보고 이해하기에는 이미 유령이나 귀신의 차원으로 옮겨갔거나, 아니면 우리가 바라보는 작품이라는 것들이 죽은 것들로, 거기에는 살아있는 증거인 퍼포먼스나 해프닝이란 기대할 수 없으며, 작품 그 자체는 말라비틀어지고 시어빠진 결과다. 그래서 현대미술은 프랑켄슈타인적이거나 그림을 스쳐지난 사태들을 메마른 흔적 만으로는 알 수 없다.

그래서 더 이상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닌, 그 작품의 (개념이나 관념에 대한 설명을) 귀로 들어야 하는 것이 되었다. 말은 그러하면서도 폴록이나 워홀, 그리고 리히텐스타인의 죽은 육신(작품)이 그토록 비싼 것은 이해되지 않는다.

This Post Has 7 Comments

  1. 후박나무

    현대미술이 난해한 이유를 조금이나마 알 것 같아요.

    이 책 말고 진중권님의 미학 오딧세이도 한 번 읽어보고 싶은데,
    계속 미루고만 있네요.ㅎ

    1. 旅인

      저는 진중권씨의 책에는 뭔지 거부감같은 것이 생기네요.

      전에 미학 오디세이 2권을 읽었고, 이번에 서양미술사 3권을 읽었는데…

      미술사라고 하기보다 ‘미학사’라고 하는 것이 맞지 않나 싶기도 합니다. 진중권씨는 미술을 일반사 혹은 문화사와 함께 통시적이고 공시적인 관점에서 변천과 영향 등을 살펴보는 것이 부족하고 단지 미술가의 관념에만 집중하는 것 같습니다.

      다른 미술사는 재미있던데, 진중권씨의 책은 머리가 아픕니다.

    2. 후박나무

      음.. 그렇군요.
      귀가 얇고 내공도 부족한 저인지라…
      진중권님의 책은 다음으로 미뤄둬야겠네요.^^;

    3. 旅인

      후박나무님께 권한다면 한국화와 관련되겠지만, 오주석님의 ‘한국의 미 특강’을 권하고 싶습니다. 이 책은 쉽게 그림을 보고, 즐거워하고, 사랑하게 되도록 만들더군요..

      오주석씨가 眼鑑(눈으로 감상)의 능력을 키워준다면, 진중권씨의 책은 耳鑑(남의 이야기나 이론에 입각한 감상)의 역량을 늘려줄 뿐이 아닌가 싶습니다. 오주석씨는 박물관에서 근무하며 한 작품을 몇년간, 혹은 십년이 넘도록 지켜보아 왔다면, 진중권씨는 책의 도판의 그림을 흘낏보거나, 다른 사람의 이론을 보아가며 공부를 한 사람이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더군요.

    4. 후박나무

      우왕~ 그렇군요.
      감사해요 여인님.^^
      추천해주신 책 구입해서 읽어봐야겠어요:~)

  2. 위소보루

    안그래도 요새 미학에 대해 궁금해서 진중권씨의 미학 오디세이와 이중톈의 미학강의를 읽고 있었는데 위의 댓글에서 좋은 책을 발견했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읽으면서도 피상적으로 다가온 이유가 있었군요 아직까진 제게 눈으로 감상하는 능력이 더 와 닿을 것 같습니다.

    1. 旅인

      이중텐의 삼국지 강의는 몇번 본 적이 있는데, 그 사람이 미학까지 손을 대고 있다는 것이 놀랍습니다. 진중권씨의 책은 포스트모더니즘이 무엇인가를 생각하는데 도움은 되었습니다.

후박나무에 답글 남기기 응답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