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슬라보예 지젝을 미워하는가

값싸고 좋은 문고판이 아예 존재하지 않았거나 사라져버린 우리나라 출판계에 대해서 나는 불만을 가질 수 밖에 없다. 문고판이야말로 좋은 책에 대한 실증적 관념을 제공한다. 또 페이퍼 백으로 된 문고판이 값이 쌀 뿐 아니라, 출퇴근을 하거나 여행을 하는데 반려하는 서적으로 알맞다는 것을 모른다면, 독서와는 한참 거리가 먼 것이다. 그러니까 우리나라 출판계는 독서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단지 영리를 위하여 책을 만들고 파는 곳이다.

1. 책, 그 물리적 어려움에 대해서

참 읽기 힘든 책이다. 책의 내용이나 번역, 편집 등의 문제는 아니다. 책의 기능적이고 물리적인 면에서 몹시 불편하게 만들었다. 독자들에 대한 고려는 아예 배제되어 있다는 것이 맞을 것이다.

책은 책상 위에 펼쳐져야 함에도 이 책은 그렇지 못하다. 책갈피에 돈을 숨겨놓기에 적당하다. 180도로 펼쳐지지 않을 뿐 아니라, 보아야 할 쪽(페이지)을 보기 위해서는 오른손과 왼손으로 책을 잡고 힘을 주어 펼쳐야만 책을 읽을 수 있다. 한 손을 놓으면 경첩에 용수철이라도 붙어 있는 것처럼 책은 쾅하고 닫힌다. 무게가 상당한 책으로 이 책의 상단 여백을 눌러놓고 책을 읽어야만 했다. 시간이 지나면 그 무거운 책 밑으로 밀려나와 저절로 닫히기가 일쑤였다.

책이 이 모양 이 꼬라지가 된 데에는 우리나라 출판사들의 제본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책값은 무지하게 비싼데도 불구하고, 제본은 노동력이 별로 들어가지 않아 가장 싼 무선제본(일명 떡제본, 본드로 종이 끝을 그냥 붙이는 방식)을 한다. 이 책도 벌써 제본이 풀어져 몇 장은 책 사이에서 혀를 내밀고 있다. 이 책을 180도로 펼친다면 이 책의 제본은 풀어지고 종이는 산산히 흩어질 것이다.

종이는 두껍고 질은 좋게 보인다. 하지만 가독성 면에서 종이표면이 매끄러워 번들거리기 보다는 신문지나 갱지처럼 빛이 난반사되는 것이 좋다. 하얗고 반질거리는 종이로 만든 요즘의 책들은 컴퓨터 화면보다 더 눈이 아프다. 이런 불편하지만 비싼 종이를 사용하게 된 것은, 책의 면수에 비하여 두껍고 외관 상 고급스러워 보인다. 그만큼 비싸게 팔아먹을 수 있다는 점 때문일 것이다.

두꺼운 종이로 떡 제본된 이 개떡같은 책을 펼치고 읽기 위하여, 나는 책과 씨름을 했다. 그래서 “내가 슬라보예 지젝 어쩌구 저쩌구 하는 책을 미워한다”고 말하게 된다.

제발 책의 기능이나 독자에 대해서 생각을 해가면서 책을 만들어 주었으면 좋겠다. 제에발!

2. 이 책, 그 내용에 관하여

우선 번역가 박정수씨는 슬라보예 지젝의 ‘How to read 라캉’이라는 책을 번역한 사람이다. 독해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라캉’을 슬라보예 지젝 특유의 신공인 ‘꼬고 비틀어’ 읽기를 시도한 이 책에, 박정수씨가 제공한 번역은 가히 외설적인 수준의 난해함을 나에게 보여주었다.

하지만 이 책은 슬라보예 지젝이 쓴 것이 아니라서 그런지 번역이 난해함을 가중시켰다고 말할 구석은 없다. 이 점에서 박정수씨의 번역도 괜찮았지만, 저자인 토니 마이어스의 지젝에 대한 해설이 탁월했다고도 볼 수 있다.

이 책은 ‘누가 슬라보예 지젝을 미워하는가’보다 ‘How to read 슬라보예 지젝’이라는 편이 났다. 지젝의 사유에 대한 개론서이지만, 이 책은 지젝의 저작을 몇 권 쯤 읽고, “이 사람이 무슨 귀신 씨나락 까먹는 소리를 하고 있는 것일까”하는 의문이 들 때, 읽는 것이 좋다. 지젝의 현란한 모순어법, 들배지기 논리, 대중문화와 문학 그리고 사유들을 통하여 대타자가 사라진 이 시대의 문제를 해부하는 그의 글을 읽고 머리가 아프지 않았다면, 이 책을 읽을 이유란 없다.

지젝의 사유에 아무 통일성없어 보이거나, 문화비평가로서 날렵한 자신의 기지에 입각하여 떠들어대는 것이 아닐까 하는 의문이 든다면, 이 책은 지젝이 아주 튼튼하고 풍성한 사유의 전통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몹시 기지가 넘치는 독특한 방식으로 기존의 사유를 재해석하고 그것을 도구로 포스트 모던시대에 당도한 ‘주체’의 당혹스러움과 냉전 이후 홀로 남은 탓에 냉소적일수 밖에 없는 ‘이데올로기’, 신으로 대표되는 ‘대타자’가 없는 이 세상의 병증을 아주 불안한 눈으로 진단하고, 나름대로 혼신의 힘을 다하여 극복 방안을 암중모색하고 있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하여 어렴풋이 – 나의 역량으로 명확히 안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기 때문에 – 알 수 있다.

그래서 나는 이 책을 읽기 이전에 지젝의 책을 몇 권 읽은 후, 이 책을 읽을 것을 권한다. 그 후 다시 지젝의 책을 읽어라. 읽었던 책을 다시 읽는 것도 괜찮다. 그러면 그의 문법, 그가 지향하는 바, 그가 진단하는 현실의 의미가 이전보다 투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This Post Has 2 Comments

  1. 후박나무

    문고판이 아닌 일반책의 경우,
    판형이 양장이 아니면 정말 읽는데 불편한 점이 많은 것 같습니다.
    180도로 펼치려 하면 쩌~억하고 페이지가 갈라져버리는 경우도 있고,
    여인님 말씀처럼 힘을 잘못주면 용수철처럼 픽~ 하고 닫혀버리니…
    책에 줄을 그으며 읽는 저에게도 이런점은 디게 불편하더라구요.
    떡제본… 정말 정말~ 넘 싫어요…ㅎㅠ

    지젝은 로쟈(이현우)님의 책을 보고 이름만 알게 되었는데,
    여인님 블로그에서 다시 만나게 되네요.
    헌데 좀 어렵고 난해해 보여 쉽게 다가가지는 못하겠어요..^^;;;

    1. 旅인

      한국 출판계는 비난받아야 마땅합니다.

      지젝은 워낙 인기가 있다고 해서 작년부터 한 4권 정도 읽은 것 같습니다. ‘이해할 수는 없지만, 재미는 있다’는 말도 안되는 결론에 이르게 된 학자입니다.

      ‘How to read 라캉’에
      “라멜라는 존재하지 않고 오직 고집스럽게 자신을 주장할 뿐이다. 그것은 실재가 없이 순수한 허울 만 있는 것이며, 텅 빈 내부를 덮고 있는 다양한 현상들로, 그 지위는 순전히 환영일 뿐이다”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것에 NLL을 대입하면
      “NLL포기 발언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고 오직 고집스럽게 있다고 주장되었을 뿐이다. 그것은 실재가 없이 순수한 허울 만 있는 것이며, 텅 빈 내부를 덮고 있는 다양한 비난들로, 그 지위는 순전히 거짓일 뿐이다”가 됩니다.

      참으로 우리나라의 정치를 바라볼 때 참고가 많이 됩니다.

旅인에 답글 남기기 응답 취소